NEWS & RESOURCES

PUBLICATION

(주)엠디엑스케이는 고객의 연구 목적에 적합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home
  • NEWS & RESOURCES
  • PUBLICATION

ACD의 RNAscope를 통해 유방암 연구를 가속화하세요

2021-09-09 09:00:45

 

유방암은 종양의 성장속도가 빠르고, 전이가 잘되는 암의 종류입니다.

또한 다양한 분자아형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분자아형에 따라 치료방법의 선택과 반응이 다를 뿐 아니라 암 발병 기전, 위험인자, 암 진행속도 및 전이장기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관련 Bio-marker(생체표지자)들을 이용하여 분자 아형을 제대로 분류하고, 정확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Fatma Khinaifis Al-thoubaity, 2019 , Annals of Medicine and Surgery

Molecular classification of breast canc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CD의 RNAscope® in situ hybridization assay는 조직 환경 내에서 유방암 관련 마커의 검출 및 검증을 위한 많은 probe들이 제작되어 있고, 새로운 probe 을 디자인할 수도 있습니다. 

 

 

 

 

 

 


 

ACD의 RNAscope® in situ hybridization assay는 Target-specific signal을 증폭시키기 위한 독점 probe desig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조직 샘플 에서 target RNA를 시각화 할 수 있는 빠르고 민감성이 높은 분석법을 제공합니다. 

 


 


12 target specific marker probes were used to detect immune cells, tumor cells, chemokines and cytokines in breast cancer using RNAscope® HiPlex V2 

 

 

 

 

유방암 연구에 ACD의

RNAscope® ISH 분석을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세요!


 

 

 

Automated Quantitative RNA in situ Hybridization for Resolution of Equivocal and Heterogeneous ERBB2(HER2) Status in Invasive Breast Carcinoma


Zhen Wang at al, The journal of Molecular Diagnostics, 2012

DOI: 10.1016/j.jmoldx.2012.10.003

 

 


 

RNAscope staining of HER2-positive (A) and HER2-negative (B).

 

Probe의 민감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positive control(A)과 negative control(B) FFPE sample에서 HER2 probe를 사용하여 RNAscope assay를 진행한 결과 positive control에만 brown signal(HER2)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DOI : 10.1038/ncb3295

 

삼중 음성 유방암(TNBC) 은 유방암의 15%를 차지하고 있고, 젊은 여성들에게 주로 나타나며, 재발률이 높고, 예후가 좋지 않으며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HER2' 등 3가지 주요 수용체가 음성이라   호르몬 치료나 HER2 표적치료제로 효과를 보기 어려워 여전히 '난제'로 남아있는 암종입니다.

텍사스 대학교 MD 앤더슨 암센터의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재적 바이오마커이자 치료 대상으로 Long non-coding RNA(lncRNAs)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lncRNA 중에 TNBC 환자에서 발현 빈도가 높은 LINK-A를 선택하여  

RNAscope® ISH를 적용하여 배열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정상 유방 조직과 비교하여 TNBC 조직에서 LINK-A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LINK-A 의존적 HIF1α 신호 전달은 종양 성장을 촉진하고 TNBC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습니다.